■ 코스 개요
삼천사에서의 산행은 삼천사계곡으로 산행하는 방법과 삼천사계곡의 우측에 있는 매봉(응봉)능선으로 산행하는 두 가지가 있다.
삼천사계곡에서는 부왕동암문, 청수동암문, 비봉능선상의 사모바위의 동쪽 안부로 오르는 갈, 나월능선을 거쳐 의상능선상의 나월봉으로 오르는 길(나월능선 코스), 승가능선을 거쳐 승가봉으로 오르는 길(승가능선 코스) 등 다섯 가지가 있으며, 매봉(응봉)능선은 비봉능선상의 사모바위로 오르는 길이다.
■ 위치
구파발에서 송추방향으로 가다보면 삼각산성입구 가기 전에 우측으로 연신내로 넘어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입구에 삼천사라는 안내표시가 있으며 그 길을 따라 약1km 걸어 들어가면 삼천사매표소가 있다.
■ 주차
삼각산성국립공원에서 평상시 매표소 안으로 차량을 몰고 들어갈 수 있는 곳은 삼천사와 진관사 매표소뿐이다. 삼천사매표소를 지나 만나는 너른 공터에 주차하거나 위로 계속 들어가면 있는 삼천사주차장에도 주차가 가능하다. 하지만 산행을 목적으로 한다면 아래의 공터에 주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소요시간
(부왕동암문)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3분)∼삼천사∼(14분)∼비봉능선(사모바위)갈림길(우측)∼(4분)∼부왕동암문갈림길(좌측)∼(40분)∼부왕동암문 : 1시간28분 소요
(청수동암문)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3분)∼삼천사∼(14분)∼비봉능선(사모바위)갈림길(우측)∼(4분)∼부왕동암문갈림길(직진)∼(50분)∼부왕동암문 : 1시간38분 소요
(사모바위)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3분)∼삼천사∼(14분)∼비봉능선(사모바위)갈림길∼(40분)∼비봉능선∼(2분)∼사모바위 : 1시간26분 소요
■ 산행안내
삼천사매표소를 지나면 주차가 가능한 공터가 있다. 이 공터 왼쪽으로는 도로, 우측길이 등산로이다. 이 두 길은 진관사로 넘어가는 매봉능선갈림길(→사모바위 3.1km, ↑삼천사 0.7km)에서 만난다. 진관사까지는 이 갈림길에서 300미터에 불과해 진관사와 삼천사를 연결하는 산행이 가능하다. 갈림길에서 진관사방향(사모바위 방향 표시)으로 200미터 가면 매봉능선의 꼬리인 고개에 올라선다. 고개에서 능선을 따라 오르면 사모바위에 도착한다.
삼천사계곡길은 계속 직진한다. 삼천사계곡은 매봉능선과 용출봉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용출봉능선 사이의 계곡이다. 삼천사 가는 포장도로를 따라 다리를 건너면 정면으로 용출봉이 시야에 들어온다. 갈림길에서 5분이면 우측으로 매봉능선 오르는 갈림길(사모바위 2.8km, 비봉 3.0km, 문수봉 2.9km, 삼천사 0.3km)이 또 나온다. 여기에서도 매봉능선을 거쳐 사모바위로 산행이 가능하다.
3분이면 천년 고찰인 삼천사에 도착한다. 등산로는 삼천사 담을 끼고 우측으로 이어진다.
절에서 계곡길을 따라 약14분후 우측으로 사모바위 동쪽 안부로 가는 갈림길(↑문수봉 2.1km, ↑부왕동암문 1.1km, ↗비봉 1.8km)이 나온다.
비봉 방향으로 약40분이면 사모바위 바로 옆의 안부로 오른다.
사모바위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계곡을 두 번 건넌다. 이 부분이 물이 불어나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다. 2분이면 우측으로 계곡을 건너고 다시 2분이면 좌측으로 계곡을 건넌다. 계곡을 건너면 이내 갈림길. 좌측길은 의상능선상의 부왕동암문으로 가는 길(↖ 부왕동암문 0.8km, ↗ 문수봉 1.8km, ↓ 삼천리골 2.1km), 우측길은 문수봉 아래에 있는 청수동암문으로 가는 길이다.
부왕동암문 길로 접어들어 약5분 정도면 주위가 트이며 암반지대가 나타난다. 여기가 마지막 계곡과 만나는 지점이다. 1분후 등산로는 계곡을 벗어나 능선을 향한다. 오르막길. 5분 정도 오르면 다시 암반지대가 나타난다. 맞은편으로 나월능선이 길을 나란히 하고 건너편으로는 승가봉으로 향하는 능선 또한 뚜렷하다.
여기서 6분여 오르면 10여미터의 바위슬랩. 마지막 바위지대 뒤가 갈림길이다. 부왕동암문에서 내려왔을 때에는 올라오는 길 등산로 같이 보이질 않아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내려오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우측길로 하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갈림길에서 부왕동암문 까지는 약 5분 거리.
부왕동암문에서 대남문은 우측 방향, 좌측은 증취봉, 용혈봉, 용출봉, 의상봉을 거쳐 대서문 또는 산성매표소로 하산할 수가 있다. 부왕동암문을 넘어가면 삼각산성계곡으로 내려간다. 이 길은 가을 단풍이 가장 아름다운 곳중 하나이다.
부왕동암문 갈림길에서 직진하는 길은 삼천사 주계곡이 이어지는 짙은 숲속길이다. 약40여분이면 문수봉을 우회하는 비봉능선길 위로 오르고 다시 10여분 깔딱고개길을 오르면 청수동암문이다.
【매봉(응봉)능선 코스】
■ 코스 개요
매봉(응봉)능선은 비봉능선상의 사모바위에서 북서쪽으로 뻗어내린 능선이다. 의상능선과 나란히 하는 선이 굵은 능선으로 바위지대가 곳곳에 있지만 대체로 완만하고 부드러워 가족산행지로서 적당한 능선이다.
능선 좌우로 진관사계곡과 삼천사계곡이 있으며, 천년고찰인 진관사와 삼천사가 매봉능선의 꼬리에 있는 작은 고개를 통하여 연결이 된다.
사모바위에서 시작하는 능선은 마지막 봉우리인 323봉 근처에서 몇 개의 지능선으로 갈라지는데, 등산코스는 진관사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시작하는 길과 삼천사 가기 직전에서 지능선으로 붙는 길 두 가지가 있다.
■ 소요시간
(매봉능선 고개로 가는 길)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매봉능선고개∼(25분)∼바위봉∼(5분)∼323봉∼(20분)∼쇠난간∼(22분)∼사모바위 : 1시간39분
(삼천사 직전에서 능선으로 올라가는 길)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4분)∼능선∼(25분)∼바위봉∼(5분)∼323봉∼(20분)∼쇠난간∼(22분)∼사모바위
: 1시간43분
■ 산행 안내
(매봉능선 고개로 가는 길)
삼천사매표소를 지나면 주차가 가능한 공터가 있다. 이 공터 왼쪽으로는 도로, 우측길이 등산로이다. 이 두 길은 진관사로 넘어가는 매봉능선갈림길(→사모바위 3.1km, ↑삼천사 0.7km)에서 만난다. 진관사까지는 이 갈림길에서 300미터에 불과해 진관사와 삼천사를 연결하는 산행이 가능하다.
갈림길에서 진관사방향(사모바위 방향 표시)으로 200미터 가면 매봉능선의 꼬리인 고개(사모바위 2.9km, 삼천리골 0.2km, 진관사 0.1km)에 올라선다.
능선에 접어들면 323봉 직전의 바위봉우리까지는 계속 오르막이다. 바위봉우리에 오르면 비로소 사방이 훤히 보인다. 능선 전면 방향으로 보이는 323봉은 바위봉우리와 거의 높이는 같지만 특징은 없다.
323봉부터는 완만한 오르막, 약13분이면 급경사 바위지대 오른다. 잠시 평탄한 길은 약7분후 쇠난간을 만나며 급경사로 바뀐다. 쇠난간을 지난후 약12분 오르면 매봉능선 최고의 바위지대에 도착한다. 비봉 및 사모바위가 지척으로 보이는 장소이다. 다시 완만한 길. 약10분이면 비봉능선상의 사모바위까지는 힘들이지 않고 오를 수 있다.
(삼천사 직전에서 능선으로 올라가는 길)
능선으로 가는 또 다른 길은 삼천사 가는 포장도로를 따라 다리를 건너 계속 직진한다. 삼천사 300미터 전에 갈림길(사모바위 2.8km, 비봉 3.0km, 문수봉 2.9km, 삼천사 0.3km)이 보인다. 여기에서 사모바위로 표시된 우측 방향으로 약4분 오르면 사모바위로 가는 지능선길에 오른다. 지능선길을 따라 약20분 정도 가파른 길을 따르면 고개에서 올라오는 능선길과 합류를 하고, 여기서 약6분이면 323봉 직전에 있는 바위봉우리에 도착한다.
【나월능선 코스】
■ 코스 개요
이 코스는 삼천사계곡에서 나월봉으로 직접 오르는 길이지만 들머리 찾기가 어려워 일반적으로 길을 아는 사람들만이 찾는 코스이다.
나월능선은 의상능선상의 나월봉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려 삼천사계곡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나월봉은 의상능선상의 봉우리이지만 위험구간으로 등산로는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나월봉이라는 표지목이 있는 장소에서 산성벽을 넘으면 능선길을 찾을 수 있다.
■ 소요시간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3분)∼삼천사∼(14분)∼비봉능선(사모바위)갈림길∼(4분)∼부왕동암문갈림길(직진)∼(12분)∼나월능선갈림길(좌측)∼(15분)∼중간봉우리∼(25분)∼나월봉∼(8분)∼나한봉∼(7분)∼716봉∼(3분)∼청수동암문∼(7분)∼문수봉∼(5분)∼대남문 : 2시간10분 소요
■ 산행안내
삼천사매표소에서 삼천사까지는 삼천사계곡길 참조.
삼천사를 지나면 등산로는 삼천사 담을 끼고 우측으로 이어진다. 절에서 계곡길을 따라 약14분후 우측으로 사모바위 동쪽 안부로 가는 갈림길(↑문수봉 2.1km, ↑부왕동암문 1.1km, ↗비봉 1.8km)이 나온다.
사모바위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계곡을 두 번 건넌다. 이 부분이 물이 불어나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다. 2분이면 우측으로 계곡을 건너고 다시 2분이면 좌측으로 계곡을 건넌다.
계곡을 건너면 이내 갈림길. 좌측길은 의상능선상의 부왕동암문으로 가는 길(↖ 부왕동암문 0.8km, ↗ 문수봉 1.8km, ↓ 삼천리골 2.1km), 우측길은 문수봉 아래에 있는 청수동암문으로 가는 길이다.
부왕동암문 갈림길에서도 직진하여 약12분 정도 오르면 우측으로 계곡을 건너는 지점의 좌측으로 산으로 향하는 뚜렷한 길이 보인다(안내판 없음). 정상적으로 청수동암문으로 가는 길은 계곡을 건너 우측으로 이어지지만 물이 불어날 경우 길이 없다고 착각하여, 오히려 지도상에 등산로 표시가 없는 나월봉길로 오르기 쉬운 지점이다.
본격적인 된비알(아주 가파른 길)이 시작된다. 능선길 우측의 깊은 계곡에서는 시원한 폭포소리가 우렁차게 흘러내린다.
갈림길에서 15분이면 너른 공터 같은 작은 무명봉에 오른다. 의상능선이 잘 보이는 곳이다.이후 다시 가파른 오르막길. 나월봉이 가까워지면서 바위지대를 지나면 의상능선상의 성터가 나타난다.
【승가능선 코스】
■ 코스 개요
이 코스는 삼천사계곡에서 승가봉으로 직접 오르는 코스이다.
승가봉은 비봉능선상에서 사모바위를 지나 문수봉으로 가지전 반드시 거쳐가는 봉우리이다. 승가능선은 승가봉에서 북쪽 삼천사계곡의 합수점(삼천사계곡에서 올라올 경우 사모바위, 비봉 방향 갈림길이 있는 지점)으로 떨어지는 제법 굵은 능선이다.
그렇게 코스자체가 재미있지는 않지만 의상능선과 응봉능선을 잘 올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능선이다. 현재 등산지도상에는 표시가 없으며 들머리 찾기도 까다롭다.
■ 소요시간
삼천리골입구∼(15분)∼삼천사매표소∼(7분)∼매봉능선고개(진관사)갈림길∼(5분)∼사모바위갈림길∼(3분)∼삼천사∼(14분)∼비봉능선(사모바위)갈림길∼(4분)∼두번째계곡건너기전갈림길(직진)∼(2분)∼승가능선갈림길(우측)∼(2분)∼승가능선∼(30분)∼승가봉 : 1시간22분 소요
■ 산행 안내
삼천사매표소에서 삼천사까지는 삼천사계곡길 참조.
삼천사를 지나면 등산로는 삼천사 담을 끼고 우측으로 이어진다. 절에서 계곡길을 따라 약14분후 우측으로 사모바위 동쪽 안부로 가는 갈림길(↑문수봉 2.1km, ↑부왕동암문 1.1km, ↗비봉 1.8km)이 나온다.
사모바위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부왕동암문이나 문수봉으로 가기 위해서는 계곡을 두 번 건넌다. 이 부분이 물이 불어나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다. 2분이면 우측으로 계곡을 건너고 다시 2분이면 좌측으로 계곡을 건너는 길을 만난다.
여기서 직진하는 방향으로 흐릿한 길이 또 하나의 갈림길. 부왕동암문으로 가기 위해선 반드시 계곡을 건너야 하지만, 문수봉으로 가기 위해선 계곡을 건너도 되고 직진하여도 된다. 하지만 승가능선을 타려면 반드시 직진하는 길을 택하여야 한다.
직진하는 길은 계곡과 금방 멀어지듯이 산으로 치고 오른다. 문수봉으로 가는 길은 계곡과 같이하기 때문에 물소리가 희미해지면서 길을 잘못 들었는가 걱정을 하게 되지만 등산로는 2분후 다시 아래로 향한다.
바로 이 지점이 승가봉능선 갈림길이다. 길이 아래로 꺾어지는 지점의 우측 사면으로 길 흔적이 보인다.
가파른 사면길을 치고 올라 2분이면 능선에 오른다. 뚜렷한 길. 조금후 전망이 트이며 시원한 풍광이 펼쳐진다. 서서히 오르막이 시작되고 15분 정도 오르면 사모바위가 눈에 들어오는 바위지대에 오른다. 여기서 15분 정도면 승가봉이다.
(2003. 12. 31 자료 올림, 2004. 11. 26 수정)
'그룹명][등반및산행모습 > 삼각산 등산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각산[12성문 종주코스] (0) | 2006.04.07 |
---|---|
[스크랩] 구파발기점[짐관사매표소] (0) | 2006.04.07 |
[스크랩] 구파발기점[백화사매표소] (0) | 2006.04.07 |
[스크랩] 효자동기점[밤골매표소] (0) | 2006.04.07 |
[스크랩] 효자동기점[효자비] (0) | 2006.04.07 |